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메라기자 트레이닝

(12)
카메라의 기본 구조 1 - 렌즈 카메라의 기본 작동 구조를 알아볼 건데 우선 렌즈부터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렌즈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렌즈는 유리를 연마해서 유리안의 불순물을 제거해서 만든다. 이때 얼마나 잘 연마를 하느냐에 따라 렌즈의 품질도 올라간다. 렌즈는 말 그대로 빛을 모으는 역할이기 때문에 빛외에 다른 불순물이 렌즈에 있다면 그것도 같이 반영된다. 일회용 필름카메라를 보면 플라스틱 렌즈를 많이 사용한다. 신기하게도 폴리카본네이트 플라스틱으로 정말 깨끗한 투명도를 구현할 수 있고 아크릴릭 또한 우리가 유리창에 사용하는 유리보다는 투명도가 높다. 단지 카메라 렌즈라고 하는 물건에 접합하지 않다. 일회용 카메라 렌즈가 플라스틱 일 경우 말 그대로 잠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줌렌즈도 아니고 작은..
알아도 집고 넘어가는 기본 영상 브리핑 영상취재를 한다는 것은 결국 영상을 찍는다는 것이다. 누구나 다 알 것이다. 예전에 영상은 필름에 빛을 노출시켜서 한 장 한 장 찍고 소리는 필름의 옆부분에 아날로그로 넣었다. 아날로그 편집은 너무 오래 되서 다루지 않겠다. 현대에는 전부 디지털화되었으며 그 덕에 많은 종류의 디지털 형식이 존재한다(아직도 영화에는 필름을 사용한다). 필름도 다양한 색감이나 빛에 대한 반응도가 존재 하긴 했지만 현대의 디지털 만큼 다양하진 않았다.디지털, 즉 컴퓨터를 사용하는 파일이라는 특성상 시간이 흐를수록 너무나 많은 종류가 생겨났다. 컴퓨터가 발달하는 속도 만큼이나 영상파일도 발전했다. 286,386,486 컴퓨터를 아는가?이런 컴퓨터를 사용해 봤다면 아마 현재 40~60대 일 것이다. 컴퓨터의 연산처리 능력..
태양을 피하고 싶지 않아! 직장이라는 게 사무실에 출퇴근하는 것이 보통이다. 영상취재기자 또한 마찬가지 이긴 하다. 영상취재라는 특성상 출장, 외근, 야근이 많은 직업군이라는 것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나는 그냥 사무실 내 책상이 좋아요라고 한다면 편집만 하는 쪽으로도 눈길을 돌려 보길 바란다. 영상 촬영을 하는 카메라 감독도 물론 편집을 한다, 당연히 해야 하며 할 줄 알아야 한다. 어디에서 어느 때 사건 사고가 생기는지는 아무도 모르기에 정해진 스케줄이 보장되는 직업이 아니다. 하지만 장점으로는 이곳저곳 많이 다니고 새로운 것을 보고 느낀다. 어떠한 사건의 중심에서 그 역사를 기록하고 그 장소에 그때에 있다는 것은 아마 다른 직업군에서는 보기 힘든 경험일 것이다. 역사의 어느 한순간에 동참한 것만으로도 사명감이 느껴질 때가 ..
카메라기자 첫걸음, 잘 시작하기 카메라 기자도 직업이다. 월급을 받고 일을 한다. 하지만 단지 그러한 것으로만 직업을 찾는다면 어쩌면 일이 하기 싫어 질지도 모른다. 카메라기자를 오래 재미있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몇가지를 알아보고 나의 적성에 맞는 직업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일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걸 입사 후에 알게 된 이들도 목격했다. 이럴 경우 본인도 힘들지만 주변 사람들도 같이 힘들어 한다. 하지만 나도 처음엔 그러했듯 누구나 그러했듯 헤매 일수 있다. 본인 적성에 맞는지 안 맞는지도 알려면 마음이 조금은 있어야 한다. 카메라에 대한 열정이 조금이라도 없다면, 그리고 돈은 벌어야 하겠다면 그냥 그 마음 조차도 만들어 버리기를 추천한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처럼 어차피 새로 시작할 다른일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일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