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메라기자 트레이닝

(12)
소리반 공기반 우리가 공포영화를 극장에서 볼 때 정말 엄청 무섭다.(아닌가? 나만?) 나는 화면을 가리고 아랫부분만 살짝 보이게 해서 본다. 거의 다 가린다. 그래도 무섭다. 그 이유는 바로 소리 때문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후각이 엄청난 역할을 하는 것과 거의 동일 수준으로 영상에서 소리란 그냥 영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포영화도 귀를 막고 보면 안 무섭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난 그때 몰랐다. 조금 더 일찍 알았으면 영화 "링"을 조금 덜 무섭게 보았을 것이다. 그 영화를 보고 1주일 정도는 집의 열려 있는 모든 문이란 문은 다 닫고 살았다. 커피도 컵자국이 남지 않게 아래를 닦아서 마셨다. 그래서 이제 그 놈의 소리... 그것이 우리에게 전달되게 하는 마이크에 대해 알아보겠다. 내 친구 마이..
모니터 LCD, OLED?IPS? 모니터는 단순히 화면을 보여주는 도구를 넘어, 우리의 작업 효율과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양한 기술들이 경쟁하며 발전하고 있는 만큼, 각 기술의 특징과 장단점을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모니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먼저 살펴볼 기술은 바로 LCD, 액정 디스플레이입니다. LCD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기술이죠. 액정이라는 물질에 전압을 가해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해서 영상을 보여주는 방식인데, 액정 자체는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백라이트라는 광원이 필요합니다. LCD의 장점이라면 얇고 가벼워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전력 소모도 적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크기와 해상도의 제품이 나와 있어서 선택의 폭도 넓고, 수명..
케이블의 종류와 차이점 영상 만들고 찍을 때, 어떤 케이블을 써야 할지 고민될 때가 많죠? 용도에 맞는 케이블을 선택해야 깔끔하고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각 케이블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개발 정보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컴포지트 케이블 (Composite Cable)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구시대 케이블 이지만 예전 닌텐도 나 비디오 테이프 플레이어를 티비에 연결할때, 혹은 정말 오래된 캠코더에 사용했었습니다. 노란색 RCA 단자 하나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가장 기본적인 케이블입니다. 밝기(Y) 신호와 색상(C) 신호를 하나로 합쳐서 전송하기 때문에 화질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합니다. 언밸런스 케이블이라 노이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1950년대, RCA (Radio C..
오디오 파일의 종류 우리가 흔히 접하는 녹음 파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녹음 파일은 어떤 방식으로 소리를 저장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는데요,각 파일 형식마다 음질, 용량, 호환성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오늘은 대표적인 녹음 파일 형식 5가지 (mp3, AAC, wav, flac, CD) 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징과장단점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1. MP3 (.mp3) 는 1993년 프라운호퍼 연구소 라는 곳에서 개발을 했습니다. 그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디오 파일 형식 중 하나입니다. CD시대 이후에 디지털화 되면서 물론 압축에의한 음질에 손상은 조금 있었지만 엄청나게 적은 용량으로 엄청나게 많은 노래를 보관할수 있다는 장점과 휴대가 편리한 작은 사이즈 때문에 사람들이 열광하기 시작했습니다. CD 플..
Bitrate? 비트뤠잇? Bitrate, 비트레이트에 대해 알아보겠다.비트는 컴퓨터에서 기본적인 데이터 파일에 대한 용량을 표기하는 단어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내 핸드폰은 126GB야, 내 아이패드는 256GB야 하는 것들의 B가 이 비트(님) 되시겠다. Bits 가 있고 Byte가 있다. Bits는 그야 말로 컴퓨터의 기본 언어라고 할 수 있는 0, 1 로 이루어진 데이터이다. 8bits 가 1byte 되시겠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저장용량은 바이트로 표기를 하고 바이트로 부른다. 1gigabyte는 8 gigabits 와 같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알고 사용하고 표준화된 것이 바로 바이트 byte의 개념이고 여기에 익숙해 져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고 하면 하 1초에 100메가바이트정도가 ..
영상 파일의 종류 mp4? h.264? 영상 파일은 모두 알겠지만, 카메라가 센서로 받은 색의 정보와 마이크로 기록한 소리를 하나의 파일에 시간의 순서대로 담은 것이다. 그래서 결국 컴퓨터로 다루기 때문에 그때그때 더 효율적으로 파일이 발달해 왔다. 우선적으로 우리가 보는 영상의 화소수 부터 알아보겠다. 여기서 화소수는 화질이 아니다. 화질에는 영상의 선명도와 정확한 색, 주사율등을 따져서 좋은 퀄리티를 화질이 좋다고 하는 것이고 화소수는 이런 것들과 별개로 현재 내가 보고 있는 영상이 얼마나 많은 픽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느냐이다. 찍는 영상마다 마구 다른 것이 아니라 애초에 하나로 통일되어 왔다. 누군가는 A로 찍고 보는 사람은 B만 볼 수 있는 환경이라면 서로 호환상의 문제로 영상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A로 ..
카메라의 기본 구조 3 - Hz, fps Rates 이 영상에서 가지는 뜻은 하나가 아니다. Frame rate이 있고 Refresh rate이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Light Frequency 가 있고 Screen Frequency 가 있다. 카메라에서 조절하는 셔터 스피드는 사진의 노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한편 모션블러(Motion Blur) 즉 움직이는 물체가 사진에 찍힐 때 얼마나 흐리게 찍히는지도 관여를 한다. 그 후에 이러한 조건들을 가지고 1초에 몇 장으로 영상을 붙여 만들 것이냐가 프레임 속도이다. (Frame Rate) 이 프레임 속도는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디스플레이와 연관이 있다. 프레임 속도가 빠를수록 움직임의 인식이 또렷하고 더 사실적이라 낯설게 느껴진다. 영화가 주로 24 Frames per second ..
카메라의 기본 구조 2 - 센서 카메라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센서에 대해 알아봅니다.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어딘가에선 기록을 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필름이나 센서입니다. 필름은 각자 파랑, 녹색, 빨강에 반응하는 화학성분을 아주 얇은 레이어로 만들어서 겹친 것입니다. 각자 반응한 정도를 결국 다 겹치면 그림이 나오는 것이죠. 흔히 사용하는 필의 크기가 35mm였고 이것을 기반으로 디지털로 발달된 것들이 우리가 말하는 Full frame 카메라 라고 하는 겁니다. 예전의 필름처럼 35mm다 쓴다고 해서 꽉 찬 프레임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게 필름일 때는 필름 규격이 있고 카메라도 필름을 써야 하기 때문에 다 통일이 되어 있었는데 디지털화되면서 필름처럼 통일할 필요가 전혀 없기 때문에 센서의 크기들이 여러 개로 나뉘어 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