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메라기자 트레이닝

카메라기자 첫걸음, 잘 시작하기

반응형

실제 현장에 나가면 분주하고 바쁘다. 위 사진은 언론들이 모여는있 곳이다. 새벽임에도 저렇게 다들 바쁘다.

 

카메라 기자도 직업이다. 월급을 받고 일을 한다. 하지만 단지 그러한 것으로만 직업을 찾는다면 어쩌면 일이 하기 싫어 질지도 모른다. 카메라기자를 오래 재미있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몇가지를 알아보고 나의 적성에 맞는 직업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일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걸 입사 후에 알게 된 이들도 목격했다. 이럴 경우 본인도 힘들지만 주변 사람들도 같이 힘들어 한다. 하지만 나도 처음엔 그러했듯 누구나 그러했듯 헤매 일수 있다. 본인 적성에 맞는지 안 맞는지도 알려면 마음이 조금은 있어야 한다. 카메라에 대한 열정이 조금이라도 없다면, 그리고 돈은 벌어야 하겠다면 그냥 그 마음 조차도 만들어 버리기를 추천한다.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는 말처럼 어차피 새로 시작할 다른일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일단은 즐기기를 바란다. 

 

흔히들 카메라기자를 기자처럼 여기는 경우가 많다. 타이틀 뒤에 오는 기자라는 단어 때문일 것이다. 물론 현재 취재중인 이슈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은 있다. 하지만 카메라는 기술 쪽에 더 가깝다. 카메라도 펜 기자 만큼 알아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면 펜 기자도 카메라만큼 기술적으로 알아야 한다는 말과 같은 말이다. 카메라기자는 이미 카메라촬영에 관한 기술적 사항만으로도 충분히 바쁠 때가 많다. 카메라기자는 본인이 다루는 모든 장비들에 대해서 원리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방송이나 촬영이란 항상 예상하지 못하는 기술적 문제가 생긴다. 신기할 정도로 자주 생긴다. 그것을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해결해야 촬영 및 방송이 가능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디서부터 문제이고 대책안은 무엇인지, 내가 가진 장비들로 해결할 수 있는지 없는지 몇 분 안에 파악을 해야 방송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안되는 것으로 헤매며 시간을 낭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안되면 빨리 다음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카메라기자는 기술적 이해가 빨라야 하며, 느리다고 하더라도 카메라기자일을 하고싶은 마음이 있다면 기술에 대해서 따로 시간을 내서라도 공부를 해야 한다.

 

글로 배운 기술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는것이 카메라 일수도 있다. 막상 촬영을 해보면 알면서도 버벅거리기 쉽다. 머리는 아는데 실제로 경험하지 못해서 뇌가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것은 그냥 반복적으로 하는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무턱대고 반복하는것 보단 집중해서 반복한다면 겨우 몇번에 숙달할 수 있다. 반고호가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고 했다. 그런데 미술계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엉성한 연습의 반복은 엉성한 그림만 그릴 뿐이라고 했다. 최선을 다한 완벽한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고 했다.

 

나는 이 블로그에 카메라기자가 알아야할 기술적 사항이나 여러가지 상황 속 대처방법에 대해 말해 볼까 한다. 이게 무슨 비밀이라고 대부분 알려주지 않는다. 자기들 밥그릇을 지키려는 생각 일수도 있고 막상 알고 보니 별거 없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혹은 본인이 카메라기자로써 알아야 할 지식이나 정보에 대해 뒤쳐져 있을지도 모르기에 자신이 없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입사 때 배운 정보를 가지고 카메라기자 생활을 쭉 이어 가는 분들이 많다. 선배가 될수록, 직급이 올라갈수록 뭐라 할 사람도 없고 역할을 분담해서 아랫사람에게 시키기 때문이다. 역할이 업무상 분할 되어도 본인이 두루두루 최신 정보나 기술에 업데이트 되어야 전제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위에서 모르면 결국 아래서도 모르는 직원들만 우글거리게 된다. 

 

카메라 작동원리를 알고 있어도 최신 카메라 작동 원리는 또 다를 수도 있고 또 최신 장비를 만드는 회사도 많이 생겨서 어디서 구매해야 하는지도 바뀌었을 수도 있다. 언제나 항상 최신정보를 빠삭하게 알고 있을 순 없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알려고 하지 않는 마음은 실제로 도태되게 만든다. 그냥 우리 부모님들이 잘되라고 하는 말이 아니라 사회생활에선 실제로 적용되고 일어나는 일이다. 진짜 실제로 도태된다.

반응형